전라남도나주교육지원청

메뉴

  • 화면 크게
  • 화면 작게
  • 인쇄하기
  •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새창열림
  • 트위터로 공유하기

사업의 정의

추진배경
  • 계층간 소득 격차의 심화, 가정의 기능 약화, 급격한 도시화 등에 의해 초래되는 사회통합의 위기에 학교와 지역사회가 적극 대처
  • 교육·문화적 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시 저소득층 밀집 지역의 교육 및 문화적 기회의 불평등 완화 정책 추진 필요
사업 목적
  • 저소득층 영유아 및 학생에 대하여 교육의 기회, 과정, 결과에서 나타나는 주요 취약성을 최대한 보완하기 위한 다차원(교육, 문화, 복지 등)적 지원 사업임
  • 본 사업은 학교 중심의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해 학습, 문화, 심리,정서 등 삶 전반을 지원함으로써 저소득층 아동,청소년의 교육적 취약성을 해결해 나가고자 함
추진목표 및 전략
정책비젼
1. 지역교육공동체 구현을 통한 취약계층의 삶의 질 제고
정책목표
1. 저소득층 영·유아 및 학생의 교육·문화적 결손을 치유·예방하기 위한 노력에 교육공동체의 역량을 집중
2. 저소득층 학생 및 청소년의 정서 발달을 위한 가정-학교-지역사회 차원의 지원망을 구축
3. 저소득층 학생 및 청소년에게 건강한 신체발달을 위한 필수적인 최소한의 복지서비스를 제공
추진전략
1. 시범운영을 통한 타 지역으로의 확산이라는 단계적 추진계획을 마련하고, 국가(지방자치단체)의 지원이 우선될 수 있도록 제도화
2. 학교가 지역의 문화·복지 관련기관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
정책비젼
1. 지역교육공동체 구현을 통한 취약계층의 삶의 질 제고
정책목표
1. 저소득층 영·유아 및 학생의 교육·문화적 결손을 치유·예방하기 위한 노력에 교육공동체의 역량을 집중
2. 저소득층 학생 및 청소년의 정서 발달을 위한 가정-학교-지역사회 차원의 지원망을 구축
3. 저소득층 학생 및 청소년에게 건강한 신체발달을 위한 필수적인 최소한의 복지서비스를 제공
추진전략
1. 시범운영을 통한 타 지역으로의 확산이라는 단계적 추진계획을 마련하고, 국가(지방자치단체)의 지원이 우선될 수 있도록 제도화
2. 학교가 지역의 문화·복지 관련기관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
사업 흐름도
사업 흐름도 사업 흐름도
  닫기